[이명박 1년]정치권 최대 유산 ‘박근혜’
ㆍ권력 견제 ‘여권내 야당’ 대안 부각
ㆍ국정난맥 책임회피·반사이익 지적도
이명박 정부 1년 정치권의 최대 유산(遺産)은 ‘박근혜’다.
그와 현실 권력의 ‘길항(拮杭)’이 정국의 향배를 가늠해왔기 때문이자, 그 속에서 여권 내부의 ‘대안 야당’으로 자리매김되면서다.
야당이 무력한 상황에서 사실상 유일한 국정의 견제축으로 작동했다.
이는 국정의 동반자 겸 견제자라는 이중적 위치 속에서 국정난맥의 ‘책임’과는 거리를 두는 토양이 됐다.
이 때문에 ‘반사이익의 정치’란 지적도 나온다.
‘여당 내 야당’으로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자리’는 이명박 정부 출범 전인 지난해 1월 ‘총리제안설’에서부터 가시화됐다.
“당에 남아서 정치발전과 국가 발전을 위해 일할 것”(1월9일)이라고 입각 가능성을 일축하면서다.
이는 대선 경쟁의 패자로서 소극적인 ‘침묵의 정치’로 이어졌다.
하지만 정부 출범 1개월도 안 돼 공천 파동이 터지자, 침묵의 정치는 “이렇게 잘못된 공천은 처음 본다. 선거가 끝나도 당이 화합하기 힘든 상황이 올 것”(3월13일 긴급 기자회견), “저도 속고, 국민도 속았다”(3월24일)는 분노로 표출됐다.
이는 18대 총선에서 공천의 칼을 휘둔 여당 실세들이 줄줄이 낙마하는 ‘박근혜의 힘’으로 확인됐다.
이후 고비마다 드문드문 터져나온 박 전 대표의 발언은 정국을 정리하는 ‘방향타’로 기능했다.
6월 촛불정국에선 “국민들의 불안감 해소 방법이 재협상밖에 없다면 재협상을 해야 한다”(5월6일)고 했고, 11월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추진은 “지방의 사정이 너무 절박하다. 선후가 바뀐 것”이란 말에 좌초했다.
국회를 난장판으로 만든 ‘MB(이명박 대통령) 법안’ 밀어붙이기는 “법안이 국민에게 실망과 고통을 안겨주고 있다”(2009년 1월5일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는 한마디로 정리됐다.
한마디로 “지금 유일하게 자신의 말로 대중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치인”(여당 재선 의원)의 ‘위상’이다.
실제 연말 경제위기 등 고비마다 정치적 경쟁세력인 친이계 내부에서부터 ‘박근혜 역할론’이 부상한 것에서 그의 위상은 확인된다.
이 같은 상황은 지난 1년 국정 책임세력의 난맥과 견제축이 돼야 할 야당의 실종이 배경이다.
입법·사법·행정 권력을 모두 틀어쥔 여권은 내부 갈등으로 혼선을 거듭했다.
야당은 171석 거대 여당에 밀리고, 정체성마저 혼돈을 겪으면서 “야당 자리마저 박근혜에게 빼앗긴 허당의 모습”이란 자조가 나올 정도였다.
문제는 앞으로다.
‘침묵’과 ‘여당 내 야당’을 오간 1년여 줄타기는 박 전 대표를 ‘대안·미래’로 만들었지만, 이제 그에 따른 도전에 직면한 때문이다.
당장 “정말 어렵고 필요할 때 도움을 준 것이 뭐가 있느냐. 이명박 정부가 성공해야 박 전 대표도 있다”(친이직계 초선)는 친이계들의 ‘반사이익 정치’ 비난이 무겁다.
친이계의 견제가 본격화되는 조짐도 확연해지고 있다.
그렇다고 공개적으로 각을 세우며 비주류의 길을 가기에는 다음 대선까지 ‘시간’이 너무 많이 남아 있다.
박 전 대표가 당분간도 계속 ‘침묵’에 무게를 두면서 ‘한마디 정치’를 통해 존재감을 부각시키는 길을 갈 수밖에 없는 배경이다.
<김광호·이고은기자 lubof@kyunghyang.com>
입력 : 2009-02-24 17:52:44ㅣ수정 : 2009-02-24 17:52:46
'◆ 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 > #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명박 1년]끊임없는 언론장악 시도…표현의 자유 억압 (0) | 2009.02.24 |
---|---|
[이명박 1년]MB노믹스 고집하다 위기만 증폭 (0) | 2009.02.24 |
[이명박 1년]“대국민 소통 실패했다” “혼란 있었지만 잘 견뎌” (0) | 2009.02.24 |
[이명박 1년]진보신당이 본 별난 통계 (0) | 2009.02.24 |
[이명박 1년]끊임없는 언론장악 시도…표현의 자유 억압 (0) | 2009.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