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 파동 등 ‘메가톤급 악재’ 꼬리
관련이슈 : 이명박 정부 1년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도는 지난 1년 내내 30% 안팎에 머물렀다.
역대 정권의 말기 수준과 비슷하다.
이 대통령의 지지도 추이는 고난의 연속이었던 이 대통령 집권 1년의 궤적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출발은 기세등등했다. 대선에서부터 득표율 48.7%로 2위 정동영 후보를 530만표차로 눌렀다.
그러나 그 같은 기세는 얼마 가지 못했다.
집권 초반부터 강부자(강남 땅부자)·고소영(고려대·소망교회·영남) 인사파동과 4·9총선 공천 갈등, 미국산 쇠고기 광우병 파동에 따른 촛불집회 등 ‘메가톤급 악재’가 꼬리를 물었다.
결정타는 촛불집회였다.
“광우병 위험이 있는 쇠고기를 수입하지 말라”는 국민들의 바람을 받아들이지 않은 결과였다.
역리(逆理) 정치의 결과는 참담했다.
지난해 6월11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여론조사에서 이 대통령 지지도는 15.2%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집권 초 여권에게 유일한 위안은 4·9총선에서 과반수를 차지한 것이었다.
그러나 국내외 정세는 혼돈에 빠진 여권의 전열 정비에 틈을 주지 않았다.
7월 금강산관광객 피격사망사건과 김윤옥 여사의 사촌언니 김옥희씨의 공천 관련 뇌물수수 사건, 9월 미국발 금융위기가 연이어 터졌다.
다급해진 여권은 이 대통령 지지율 끌어올리기에 총력전을 벌였다.
지난해 추석을 앞두고 빈곤층 아동양육비 지원, 소득세 환급 등 각종 민생정책들을 쏟아냈다.
그러나 지지율은 24%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지지도의 반등은 두번 있었다.
베이징 올림픽 기간(29.2%)과 지난 연말 새해 예산안 처리 정국(31.9%)에서다.
그러나 새해 예산 일방처리,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외통위 단독 상정 등 집권 여당의 밀어붙이기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높아지면서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미디어 관련법, 복면 금지법, 사이버 모욕죄 등 이른바 ‘MB입법’ 밀어붙이기도 지지도 하락 요인으로 지적된다.
최근엔 지지도가 소폭 반등해 30%대에 들어섰다.
경제위기 악화와 북핵위기 재발로 50대 등 특정 보수계층이 결집한 결과로 분석된다.
중도층을 포함한 전 계층의 고른 지지를 받는 것이 아닌 만큼 상승폭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아 사회통합적 정책 실현이 시급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남상훈 기자 nsh21@segye.com
기사입력 2009.02.23 (월) 18:56, 최종수정 2009.02.24 (화) 18:18
'◆ 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 > #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명박 정부 1년 평가] 무너진 경제지표… 맥못춘 MB노믹스 (0) | 2009.02.24 |
---|---|
[이명박 정부 1년] 부동산 시장, 규제완화 불구 집값·거래량 ‘뚝’ (0) | 2009.02.24 |
[이명박 정부 1년 평가] 대선 공신·TK·고려대 출신 ‘실세코드’로 (0) | 2009.02.24 |
[이명박 정부 1년 평가] 4강외교속 南北관계는 위기 치달아 (0) | 2009.02.24 |
[이명박 정부 1년 평가] 지난 1년간 MB발언 보니... (0) | 2009.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