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

[이명박 정부 1년] 인사 파동부터 용산 참사까지 ‘시련의 연속’

테마파크 2009. 2. 24. 21:33
[이명박 정부 1년 평가] 인사 파동부터 용산 참사까지 ‘시련의 연속’

 

강부자·고소영 내각 논란… 내정자 줄줄이 낙마

‘쇠고기 졸속협상’ 파문에 글로벌 경제 위기도

 

관련이슈 : 이명박 정부 1년

 

 이명박 대통령의 취임 후 1년은 그야말로 ‘다사다난’했다.

 

숨돌릴 틈도 없이 대내외 악재가 잇따라 터졌다.

이에 따라 주가폭락 등 각종 경제지표도 곤두박질쳤다.

 

530만표차라는 대선 압승의 자신감과 ‘경제대통령’ 타이틀이 무색할 정도다.

‘대통령 신고식’을 혹독하게 치른 셈이다.

 

서막은 취임 당시 인사파동이다.

이 대통령이 ‘최고 중의 최고’라며 선발한 초대 각료 내정자와 청와대 수석 상당수가 부동산 투기 의혹 등 자질과 도덕성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강부자’(강남 부동산 부자), ‘고소영 S라인’(고려대·소망교회·영남·서울시청 출신) 인사 논란은 민심 이반을 재촉했다.

결국 이춘호 여성부 장관 내정자(2월24일)에 이어 남주홍 통일부, 박은경 환경부 장관 내정자(2월27일), 박미석 청와대 사회정책수석(4월27일) 등이 잇따라 낙마했다.

 

한나라당의 한 의원은 23일 “민심과 동떨어진 인사로 첫 단추를 잘못 끼운 게 이후 국정운영을 엉망으로 만든 핵심 요인”이라며 “MB(이명박)정부의 집권 첫해 가장 뼈아픈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 인사에 실망한 여론은 4월 한미 쇠고기 협상 타결을 기점으로 폭발했다.

지난해 5월2일부터 8월15일까지 100일가량 지속된 촛불집회를 통해서다.

광우병에 대한 안전장치 미흡 등 한미 쇠고기 졸속 협상 논란으로 시작된 촛불집회는 이명박정부 실정 비판과 정권퇴진 운동으로까지 확산되며 한국 사회를 뒤흔들었다.

 

이 대통령이 두 차례나 고개 숙여 사과하고 미국과 추가협상을 하면서 사태는 수습됐지만 국정 동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이 와중에 지난해 7월 남한 관광객이 금강산에서 피격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해 전국을 충격으로 몰아넣었다.

현 정부 들어 삐걱거리던 남북관계는 이 사건으로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했으며, 10주년을 앞둔 금강산 관광이 전면 중단되는 등 악화일로로 치달았다.

설상가상으로 이 대통령 측근인 이봉화 보건복지가족부 차관 사례로 촉발된 쌀 소득보전 직불금 파동으로 18대 첫 정기국회는 파행으로 얼룩졌다. 이 전 차관 등 당시 자격이 안 되는 상당수 고위 공무원의 쌀 직불금 부당수령 문제가 확산되면서 농심(農心)의 반발이 컸다.


올 들어서도 시련은 계속됐다.

 

MB개혁입법의 성패가 달린 2월 임시국회를 앞두고 경찰관 1명을 포함해 6명이 사망한 용산 재개발 참사가 정국을 강타했다.

경찰 진압의 적정성 여부를 떠나 사회적 약자인 세입자들의 희생이 컸다는 점에서 온 나라가 들끓었다.

 

특히 지난해 9월 미국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 파산으로 시작된 사상 최악의 금융·경제위기는 한국 경제를 벼랑 끝으로 내모는 형국이다.

이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