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이슈 : 이명박 정부 1년
500만표 이상의 대선 압승에 이어 총선 석권과 172석의 거대 여당 배출.
이명박정부는 탄탄한 통치기반을 갖추고 집권 1기를 의욕적으로 시작했다.
그러나 초반부터 미국산 쇠고기 파동과 촛불사태로 휘청대더니, 내내 힘을 쓰지 못했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정치력 부재’가 주범이라는 게 중론이다.
이 대통령의 ‘탈(脫)여의도 실험’은 소통을 막고, 통합의 리더십을 외면하는 부작용을 낳았다는 평가다.
이 대통령은 정치권을 무시했다. 정치를 모르기도 했다.
‘고소영(고려대·소망교회·영남) 인사’와 ‘강부자(강남 땅부자) 내각’의 행정부를 앞세우며 성과와 효율성만 좇아 내달렸다.
광우병 우려가 촛불로 번져 성난 민심이 폭발하기 전까지 사태의 심각성을 짐작하지 못했다.
미적거리다 국정 원동력인 국민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다. 소통 노력과 정무적 판단이 없었던 셈이다.
여권 관계자는 23일 “이 대통령은 /정치 감각이 탁월했지만 정책 마인드가 꽝이었던 김영삼 전 대통령과 반대 케이스”라고 말했다.
촛불에 덴 이 대통령은 소통을 시도했다.
그러나 ‘설득’에 실패했다. 20∼30%대 지지율이 그 증거다.
이 대통령이 확 바뀌면서 진정성을 보여야 신뢰를 되찾는데, 그렇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이 대통령은 한나라당 관계자나 대선 지지자 등을 주로 만나 ‘반쪽 소통’에 치중했다. 그러면서도 귀담아듣지를 않았다.
여당을 깔봤고, 민의 수렴·전달의 ‘순기능’을 경시했다.
청와대가 지시하면 당은 순종하는 일방적 관계가 굳어졌다. 민심과 다른 국정운영이 진행됐고, 무리수가 따랐다.
지난해 말 국회 쟁점법안 강행처리와 올 초 ‘용산 재개발지역 참사’ 대응은 비근한 예다.
친박계 포용이나 야당과의 소통은 애초부터 기대하기 힘들었고, 실제로도 이뤄지지 않았다.
/허범구 기자
기사입력 2009.02.23 (월) 18:55, 최종수정 2009.02.24 (화) 18:22
'◆ 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 > #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명박 정부 1년 평가] 지난 1년간 MB발언 보니... (0) | 2009.02.24 |
---|---|
[이명박 정부 1년] 인사 파동부터 용산 참사까지 ‘시련의 연속’ (0) | 2009.02.24 |
[이명박 정부 1년 평가] 무너진 경제지표… 맥못춘 MB노믹스 (0) | 2009.02.24 |
이명박 1년 요직…시대흐름에 역행 (0) | 2009.02.24 |
"李대통령, 재산헌납 얼렁뚱땅 1년" (0) | 2009.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