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무능불통)뇌물정권/해운대엘시티비리

"개발 목적 변질된 초고층 반드시 막아야"

테마파크 2011. 8. 24. 20:34

 

<"개발 목적 변질된 초고층 반드시 막아야">

 

박미연 부산참여연대 권력감시본부 팀장


- 해운대관광리조트 반대 주도…건축허가 취소 소송 청구키로
- "아파트 허용·환경평가 안해 시민 피해… 전면 재검토해야"


올해 부산 시민사회의 가장 큰 화두는 '초고층' 건축물이다.

 

100층이 넘는 롯데타운·솔로몬타워·해운대관광리조트 사업이 동시에 추진되면서 '바다의 사유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광안리 재건축조합과 용호만 매립지 개발업자도 초고층 허용을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다. 


특히 해운대관광리조트 민간 사업자가 최근 사업승인(건축허가)을 신청하면서 반발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해운대구의회 야당 의원 3명은 지난 9일 삭발을 했다.

해운대관광리조트 반대 캠페인을 이끌고 있는 박미연 부산참여연대 권력감시본부 팀장"특혜로 얼룩진 해운대관광리조트에 대한 감사원 감사 청구와 함께 건축허가 취소처분 공익소송을 다음 달 청구할 예정"이라고 24일  밝혔다. 주민 청구인단은 매주 금요일 해운대해수욕장에서 열리는 '촛불문화제'에서 모집하고 있다.

"해운대관광리조트 민간 사업자인 트리플스퀘어PFV㈜가 신청한 사업승인 처리 마감 시한이 다음 달 20일입니다. 센텀시티 난개발도 모자라 해운대를 '부자들의 앞마당'으로 내주려는 토건 중심적 행정에 쐐기를 박으려면 범시민적 공감대 확산과 참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시민사회가 초고층을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개발 목적이 변질됐기 때문이다. 부산시는 2007년 12월 주거 개념이 없는 '사계절 체류형 관광시설' 민간 사업자를 공모했다. '공익사업'인 탓에 사업 예정지에 포함된 토지와 건축물을 수용하는 것도 쉬웠다.

불과 4년이 지난 2009년 12월 부산시는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해운대관광리조트에 연면적 45%(894가구)까지 아파트를 허용하는 개발계획 변경안을 통과시켰다.
'아파트를 분양해 건축자금을 조달해야 한다'는 민간 사업자의 요구를 들어준 것이다.

해운대관광리조트는 환경영향평가도 거치지 않았다. 부산시 조례상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박 팀장은 "서울의 신축 초대형 건물은 대부분 환경영향평가 대상이다. 해수욕장과 맞닿아 있는 부지에 환경영향평가가 없다는 것은 부산 건축행정의 후진성을 드러내는 단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교통대란은 부산시도 인정하는 대목이다.
해운대관광리조트가 완공되면 달맞이고개 미포오거리의 교통량이 여름 성수기 해운대해수욕장과 맞먹는 시간당 1820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해운대 주민들이 교통영향평가가 부실하다며 전면적인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는 이유다. 

"부산시는 해운대관광리조트 주변 도로를 확장하려고 검토하고 있어요. 개발업자가 유발한 교통량을 왜 혈세로 해소해줘야 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해운대관광리조트는 경제 활성화보다 부산 시민 전체가 입는 피해가 더 큰 만큼 반드시 막아야 합니다."
인제대를 졸업한 박 팀장은 2009년부터 부산참여연대에서 일하고 있다.

해운대 관광리조트는 해운대해수욕장 동편 부지 6만5934㎡에 3조4000여억 원이 투입돼 총면적 65만6224㎡ 규모의 108층짜리 랜드마크 타워 1동과 87층짜리 주상복합타워 2동으로 건설된다.

 

국제신문 | 2011-08-24 20:34 | 이노성 기자 |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