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을위한정치/더불어민주당(이해찬·홍영표)

야권 통합논의 '난항'…진행상황은?

테마파크 2011. 8. 8. 06:02

 

<야권 통합논의 '난항'…진행상황은?>

 

내년 4월에 치러지는 총선과 12월 대선을 겨냥한 야권 통합 논의가 좀처럼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야권의 '맏형'이라고 할 수 있는 민주당은 '범야권 통합'을 주창하고 나섰지만 진보정당 측에서는 민주당을 제외한 '소(小)통합'에 주력하는 등 야권 통합 방법을 둘러싼 이견이 좁혀지지 않는 양상이다.

 

 

우선 민주당의 경우 손학규 대표가 직접 나서 "민주당은 민주·진보진영의 통합을 통해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다"'범야권 통합'방점을 찍었고, 야권통합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이인영 최고위원은 야권 대통합을 위해 '정파등록제'를 제안했다.

정파등록제란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등 야권의 정당들을 하나의 정당으로 통합하되, 그 통합 정당 안에 노선에 따라 여러 가지의 정파를 등록한다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 같은 민주당의 구상에 대해 정세균 최고위원은 '친노(친노무현)·PK(부산·경남)·시민사회 선도통합론'을 제안하는 등 야권 통합 방법론을 둘러싼 당내 논란이 일고 있다.

정 최고위원은 "물론 대통합이 좋겠지만, 19대 총선까지 시간이 촉박한 만큼 선도통합을 통해 대통합을 견인할 수 있게 해야 한다"민주당이 친노 세력과 PK 민주세력, 시민사회 단체들과 선도통합을 우선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다른 진보정당들의 민주당과의 통합에 매우 부정적이다. 민주당 주도의 통합 방식보다는 먼저 진보정당들이 통합한 뒤 대통합 논의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민주당의 '범야권 통합' 요구에 잇따라 반대 의사를 밝혔다.

민노당 이정희 대표는 취임 1년 기자간담회에서 민주당의 '범야권 통합' 요구에 "불가능하고 부적합한 것"이라며 선을 그었다.

이 대표는 "민주당은 현재 통합의 대상이 아니라 연대의 대상"이라면서 "(민주당과의 통합은) 불가능한 것이고 한국 정치 발전을 위해 부적합하다"고 '범야권 통합'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진보신당 노회찬 상임고문은 "우리가 민주당과 함께하지 못하는 이유는 정책과 노선 다르기 때문"이라고 했고, 심상정 상임고문 역시 "계속 (민주당이) 대통합을 거론하는 것은 패권적인 정치 문제다. 국민들은 정체성이 다른 정당을 마구 섞으라는 것이 아니다"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아울러 오는 9월을 목표로 통합 추진에 가속도를 내고 있는 민노당과 진보신당 역시 국민참여당의 통합참여를 두고 갈등을 벌이고 있다.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새로운 통합진보정당 추진위원회(새통추)'를 가동하고 양당 간 통합에 있어 당명·당헌·강령 논의 등 실무적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어 오는 8월에 각당의 의결 기구를 통해 통합 승인을 받게 되면 실질적인 통합이 추진된다.

하지만 이정희 대표가 취임 1주년 기자회견에서 참여당의 통합 참여에 긍정적인 입장을 내놓은 것을 두고 진보신당 조승수 대표가 "이 문제가 계속 제기된다면 진보신당은 중대한 결단을 내릴 것"이라며 엄포를 놓는 등 참여당의 통합 참여를 둘러싼 양당 간 갈등이 확산되는 양상이다.

또 양당 통에의 실무적 협상을 진행 중인 '새로운 통합진보정당 추진위원회 대표단 회의'에서도 향후 통합될 진보정당에 국민참여당 등 새로운 정당이 참여를 원할 경우 참여 여부 결정하는 방식을 놓고 합의하지 못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해찬 전 총리,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함세웅 신부 등 시민사회 및 종교계 원로들은 '희망 2013·승리2012 원탁회의'를 구성하고 "민주·진보세력은 힘을 합해야 한다"고 촉구하는 등 야당들을 압박하고 나섰다.

아울러 민주당 손학규·민노당 이정희·창조한국당 공성경·진보신당 조승수·참여당 유시민 대표 등 야 5당 대표들이 한진중공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자리에 모여 정책 연대 방안을 모색하고 나서 난항을 겪고 있는 야권 통합 논의가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뉴시스 | 2011.08.08 06:02 | 장진복 기자 |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