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을위한정치/더불어민주당(이해찬·홍영표)

문재인‧문성근‧이해찬, 야권통합 원탁회의 ‘첫발’

테마파크 2011. 7. 26. 15:33

 

<문재인‧문성근‧이해찬, 야권통합 원탁회의 ‘첫발’>

 

문재인 “대통합이 가장 실효성 있어”…‘대망론’엔 ‘침묵’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의 야권 승리를 쟁취하기 위한 시민사회의 노력이 첫 발을 내딛었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이해찬 전 국무총리,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오종렬 진보연대 상임고문, 함세웅 신부, 문성근 국민의명령 대표 등 진보개혁진영의 ‘슈퍼스타’들이 모여 26일 ‘희망 2013ㆍ승리 2012 원탁회의’(이하 원탁회의)를 공식 출범 시킨 것이다.

이날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첫 회의를 통해 원탁회의는 일단 “2013년의 희망을 현실화 하기 위해 지혜를 모으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과 “민주와 진보를 지향하는 세력이 힘을 합해야 한다”원론적인 수준에서의 공감대를 이끌어 냈다.

이제 첫 발을 디딘 만큼 야권통합, 선거연대 등 구체적인 승리 방안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다만, 이들은 “경로와 방법에 대해 당장 일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의견차이로 인해 2013년의 희망을 구체화하기 위한 소통과 협동마저 게을리하는 것은 국민을 배반하는 일”이라며 “각자의 처절한 자기혁신을 수행하며 통합과 연대 논의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아울러 ‘원탁회의’는 “진보개혁의 가치에 공감하는 정치세력이라면 무엇보다 2013년의 큰 꿈을 공유해야 한다”“그렇게 할 때 2012년 선거를 지금의 여당과 진보개혁정당 사이의 1:1 구도로 대응하는 방안에도 자연스럽게 합의함으로써 국민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 가장 주목받는 인물은 야권의 차기 대선잠룡으로 떠오르고 있는 문재인 이사장이었다.

특히, 참여정부 시절 공무를 제외한 국회 본청에서 열리는 공식행사에 참여한 것은 이날이 처음이었기 때문에 문 이사장이 국회본청 입장을 상징적인 의미로 바라보는 시각이 적지 않았다.

회의가 끝난 후 문 이사장은 기자들을 만나 “여러가지 다양한 논의를 하나로 모아가는 과정이 필요한 일이기 때문에 쉬운 일일 수 있겠느냐”며 “개인적으로는 2012년의 승리를 위해 범야권의 대통합이 가장 확실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이라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시민사회와 원로들이 모여 2013년 이후의 국가비전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2012년 승리방안을 함께 논의하기로 한 것은 대단히 뜻깊은 일”이라고 평가한 문 이사장은 “원탁회의를 통해 제 주장을 하고 생각이 다른 분들과 서로 뜻을 모아가는 작업을 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른바 ‘문재인 대망론’과 관련된 질문에는 말을 아꼈다.

최근의 지지율 상승곡선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으며 대선출마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답을 하지 않았다.

전날 발표된 ‘리얼미터’의 정례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문 이사장은 7.1%의 지지율로 야권대선주자 중 2위를 차지했다.

앞서 문성근 대표는 이날 “민주노동당·진보신당 당원과 지지자께 드리는 글”이란 제목의 공개편지에서 “영원히 같이 가자는 것도 아닙니다. 선거법 개정을 공동공약으로 걸고 ‘한 지붕 다섯 가족’으로 힘을 모읍시다”라고 정체성 보장제도를 도입한 연합정당에 참여할 것을 호소했다.

문 대표는 “소선거구제 아래에서는 분립과 독자 성장이 안 되니, 일단 연합정당 안에 모여서 다수당, 집권당이 되어 정당득표율이 의석수에 정직하게 반영되는 선거제도로 바꾼 다음에 분립하면 되지 않느냐”“이념을 포기하라는 것도 아니다. 이념을 그대로 지닌 채 다름을 인정하고 크게 합치자! 그리고 집권하자!”라고 동참을 촉구했다.

야권통합 방안과 관련, ‘민주당과 친노, 부산‧경남의 민주개혁세력과의 선통합’을 골자로 하는 ‘선도통합론’을 제기한 정세균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YTN 라디오 ‘강지원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진보신당과 민주노동당의 통합이 9월로 늦어진 상태에서 민주당이 마냥 기다리면서 구경만 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정 최고위원은 “국민참여당이나 창조한국당, 시민사회, 부산‧경남 지역의 개혁적인 젊은 세력들을 포함해 선도적으로 미리 통합을 추진해 나가고 민노당과 진보신당의 통합이 이뤄지면 그때 대통합을 논의할 수 있으니 일단 통합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민주당 전당대회가 11월 혹은, 12월에 예상되는데 민주당만의 전당대회가 아닌 통합 전당대회가 돼야한다”“민주당 홀로 독자적으로 공천하고 총선을 맡으면 후보가 난립돼 민주진보진영의 승리가 어렵지 않느냐는 걱정이 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정파등록제’를 주장하고 있는 이인영 민주당 야권통합특위 위원장은 2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차선으로 바로 가는 것은 분열 상태의 고착을 기정사실화하는 소극적 태도”라며 “능동적 자세로 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정 최고위원의 구상에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뉴스페이스 | 2011.07.26 15:33 | 문용필 기자 |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