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산업.교육/교육·학습

소아 예방 접종표 (0~12세)

테마파크 2009. 11. 25. 19:14

 

 엄마들이 알아야 할 소아 예방 접종표!!

 

 

   소아 예방 접종표

 연령

대상 전염병 

예방접종 

 0~1주

B형간염 

B형간염 

 0~4주

결핵 

BCG 

 1개월

B형간염 B형간염

 2개월

B형간염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P)

폴리오(소아마비)

뇌수막염

B형간염

DTaP

IPV

Hib

 4개월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P)

폴리오(소아마비)

뇌수막염

DTaP

IPV

Hib

 6개월

B형간염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P)

폴리오(소아마비)

뇌수막염

B형간염

DTaP

IPV

Hib

 12~15개월

홍역, 볼거리, 풍진

수두

뇌수막염

MMR

Var

Hib

 12~36개월

일본뇌염

A형간염

JEV

A형간염

 18개월

디프테리아, 파상품, 백일해(DTP) DTaP

 4~6세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P)

폴리오(소아마비)

홍역, 볼거리, 풍진

DTaP

IPV

MMR

 6세

일본뇌염 JEV

 10~12세

디프테리아, 파상풍 성인용 Td

 12세

일본뇌염 JEV

 

  

출처 : 에어플레인  |  글쓴이 : 올리브 원글보기

 


 

                                                                   그림: 영미손

 


 

 

소아 예방 접종
 

예방 접종이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균이 일으킬 수 있는 치명적인 질병으로부터 건강을 지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이러한 예방 접종은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 바이러스 등 각종 병원 미생물을 이용하여 만든 "백신"을 주사나 복용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백신이란 무엇인가?

백신이란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사람에게 면역성을 길러줄 목적으로 투여하는 항원을 포함하는 접종액을 말합니다.
이 말은 프랑스의 미생물학자 파스퇴르에 의해 사용된 용어로 어떤 감염증에 대해 인공적으로 면역을 얻게 하기 위해 그 병원 미생물을 인위적으로 배양시킨 뒤 그 미생물 또는 독소를 열이나 화학약품을 사용해서 사멸 또는 독성을 약화시킨 다음 사용하게 됩니다.

 


백신은 크게 사백신과 생백신의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사백신은 감염병이 독소나 다른 병원성 항원에 의해 유발될 때 병원체를 배양시켜서 열이나 포르말린 등의 화학약품으로 병원체가 활성화되지 못하도록 만들거나 죽여서 면역원성 항원으로만 작용 하도록 만든 것입니다.


반면 생백신은 비활성화 백신의 단점인 면역원성을 강화시키고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살아있는 병원체의 독성만을 약화시켜 만든 것으로 병원체의 병원성을 반복계대배양이나 다른 처리로 약화시키고 면역원성만 지니게 한 것입니다.



예방접종은 왜 받아야 하나?


전염병은 갑작스럽게 발병하여 심각한 고통과 부작용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아마비에 걸린 어린이의 다수가 사망을 하지만 낫고 난 뒤에도 척수신경의 손상으로 다리근육의 위축이 오고 평생 다리를 절게 됩니다.
또 B형간염은 영아나 어린 나이에 감염되면 당장은 특별한 질병을 나타내지 않지만 청소년이 되면서 그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장년이 되면서 만성간염을 비롯해 간경화증이나 간암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생각한다면 예방접종은 성인병의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질병이나 질병의 후유증을 예방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접종을 적시에 받고 주의사항만 잘 지키면 안전하게 우리 어린이들을 전염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소아의 표준예방 접종표

1) 기본접종

  • 4주이내 - 비씨지(BCG), 간염1차
  • 2개월 - 경구용 소아마비, 디티피(DTP), 간염 2차
  • 4개월 - 경구용 소아마비, 디티피(DTP)
  • 6개월 - 경구용 소아마비, 디티피(DTP)
  • 7개월 - 간염 3차
  • 12~15개월 - 홍역, 볼거리, 풍진(MMR)
  • 12∼24개월 - 일본뇌염

    2)추가접종
  • 18개월 - 디티피(DTP)
  • 4~6세 - 경구용 소아마비, 디티피(DTP), 홍역, 볼거리, 풍진(MMR)
  • 만6세(초등1년) - 일본뇌염
  • 만12세(중등1년) - 일본뇌염

    * 홍역 유행 시에는 생후 6개월부터 홍역 예방접종이 권장됩니다.
    * 간염 예방접종은 제품에 따라 접종시기가 다르므로 소아과 의사와 상의합니다.
    * 예방접종 후에는 반드시 아기 수첩에 접종일을 기록합니다.
    * 미숙아, 비특이성 알레르기인 경우도 예방접종이 가능합니다.
    * 예방접종은 가능한 오전에 실시하고, 예방접종일에는 목욕을 시키지 않습니다.


    대표적인 예방접종의 종류와 주의 사항

    1) 비씨지(BCG)
    BCG는 결핵 예방 접종으로, 생후 1개월 이내의 모든 신생아를 대상으로 접종합니다.
  • 주의 사항 : 접종 후 4-8주 후에 작은 몽우리가 생겨서 고름이 나올 수 있는데, 몽우리에 생긴 고름은 짜지 말고 약도 바르지 않습니다.
  • 부작용 : 국소궤양, 국한성 화농성 림프절염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디피티(DPT)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을 예방하는 혼합된 예방접종으로, 생후 2, 4, 6개월에 기본접종을 하고 생후 18개월과 만4-6세에 추가 접종을 합니다.
  • 주의 사항 : 주사 당일은 되도록 안정을 취하게 하고 주사 부위를 청결히 합니다. 이 백신에는 수산화알루미늄이라는 흡착제가 들어있으므로 접종 후 10분 이상 주사 부위를 마사지해 줍니다.
  • 부작용 : 국소의 발적, 통증, 종창, 경결과 더불어 발열, 식욕부진, 보챔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대개 2-3일 이내에 소실됩니다. 38.5도 이상의 열이 있을 때는 해열제를 사용합니다.

    3) 경구용 소아마비
    소아마비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으로 생후 2, 4, 6개월에 기본접종하고 만4-6세에 추가로 접종합니다.
  • 주의 사항 : 구토를 예방하기 위하여 접종 30분 전,후로는 수유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4) 홍역, 볼거리, 풍진(MMR)
    홍역, 볼거리, 풍진에 대한 혼합 예방접종으로, 생후 12-15개월에 기본접종하고 만4-6세에 추가 접종을 합니다.
  • 부작용 : 미열이 생기며 때때로 고열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5) B형 간염 백신
    B형 간염에 대한 면역을 얻도록 하는 예방접종으로, 약제에 따라 접종 스케줄이 다르지만 가장 흔히 사용되는 헤파박스의 경우 생후 2, 3, 8개월 혹은 생후 1, 2, 7개월에 접종합니다.
  • 주의 사항 : 산모가 B형 간염 항원(HBsAg) 양성인 경우에는 출생 후 아기에게 바로 B형 간염 면역글로뷸린을 접종하고 이와 동시에 3차에 걸친 B형 간염 백신 접종을 시작하게 됩니다.
  • 부작용 : 간혹 국소반응으로 홍반, 통증, 종창, 미열이 생기지만 2일 이내에 소실됩니다.

    6) 일본뇌염
    일본뇌염에 대한 면역을 얻도록 하는 예방접종으로, 생후 13개월부터 24개월 사이에 1주일 간격으로 2회 접종하며, 2차 접종 후 다음 12개월 뒤에 1회 접종하면 기초접종이 완료됩니다. 기초 접종을 마친 후 만 6세와 만 12세에 각 1회 추가 접종을 실시해야 합니다.
  • 부작용 : 국소통증, 두통, 권태감, 발열, 부종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출처: 톱탤런트 | 글쓴이: 원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