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죽이기? 유시민 죽이기!>
[칼럼] 김해을 협상 결렬의 책임은 120% 민주당에 있다
노벨문학상을 받은 독일 작가 하인리히 뵐의 중편 소설 가운데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란 게 있다.
1975년에 발표된 이 소설은 카타리나 블룸이란 한 평범한 여성이 한 일간지 기자를 권총으로 쏴 죽인 사연을 건조한 시선으로 풀어나간 것으로, 선정적인 언론이 개인의 명예와 인생을 어떻게 파괴해나가는지 그 과정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여기를 클릭!)
여기서 핵심은 언론이다. 언론 몇몇이 작당을 하면 사람 하나 병신 만들기는 여반장이며, 심지어 사람을 죽음으로까지 내몰 수 있다.
우리는 이미 돌아가시기 직전 노무현 대통령을 둘러싸고 벌였던 진보-보수-인터넷을 망라한 언론들의 보도에서 그 극명한 사례를 목격했었다. 이제 김해을의 야권연대 협상을 두고 이른바 진보언론들이 벌이는 왜곡보도 놀음에서 그 악행은 재연되고 있다.
김해을 야권연대 협상은 처음부터 민주당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방식을 기준점으로 시작이 됐었다.
민주당의 후보가 절대로 질 수 없는 방식으로 점철된 100의 요구를 민주당은 협상 테이블에 내놓았고, 참여당은 자신들에게 절반만 유리한, 즉 매우 공정한 방식의 룰을 테이블에 내놓았다.
사실 서로 다른 정당의 예비 후보들끼리 단일화한다면 100% 여론조사로 결정하는 게 맞다.
노무현-정몽준의 단일화가 여론조사가 될 수밖에 없었던 것도 여론조사 이외에 공정성을 담보할 어떤 수단도 없기 때문이다.
민주당도 이런 사실은 잘 알고 있다. 민주당은 참여당 이외의 정당 후보와 단일화할 때 다른 방식을 요구한 사례는 거의 없다.
민주당은 유독 참여당과 단일화할 때만 여론조사 이외의 다른 방식을 요구했다. 그것이 이른바 '국민참여경선' 방식이다. 함정은 여기에 있다.
이 아름다운 단어 속에 담겨 있는 의도는 추악하다. 국민참여경선이라고 이름은 붙였지만 그것은 당원동원경선이 실제 내용이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조직과 동원 면에서 참여당보다 100배는 우월하다. 조직과 당원을 동원해 국민의 이름을 빌어 동원을 하고, 그 동원된 사람들 가운데 40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한다면, 100가운데 90의 동원력을 가진 정당이 압도적으로 유리할 것은 자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당은 여론조사 50%, 당원동원경선 50% 방식을 받아들였다.
민주당의 무대포 밀어부치기에다, 야권에 영향력이 있는 한겨레신문,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등의 언론들까지 민주당의 밀어부치기에 힘을 얹었기 때문이다. 참여당이 세에 밀려 50대 50이란 방식을 수용하면서, 당원동원경선 50%을 연령별 인구비례로 하자는 보완안을 내놓았다.
사실 참여당의 방식대로 해도 민주당이 이길 확률은 99% 이상이다.
하지만 민주당은 작년 지방선거 경기지사 후보단일화의 악몽에 시달리고 있었다. 단 1%라도 질 수 있는 가능성은 철저히 배제하고자 했다.
즉 연령별 인구비례로 했을 때 민주당은 20대나 30대의 동원력에서 참여당에 뒤진다는 판단을 했겠고, 그런 방식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뻗댔다. 그래서 결렬 위기로 내몰린 게 저간의 객관적 상황이다.
따라서 김해을 야권단일화 협상이 만약 최종결렬된다면 그 책임은 자신들이 100% 이길 수 있는 방식을 고집하고 있는 민주당에 전적으로 있는 것이지 참여당에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게 자명하다. 그러나 이른바 야당 성향 언론의 보도는 어땠는가?
- "야권 연대 깬 참여당, 국민은 용서 못할 것"(오마이뉴스)/
- 시민사회단체 "참여당 거부로 야권연합 실패"(뷰스앤뉴스)/
- '노무현의 고향' 김해, 야권연대 좌초...참여당에 비난 집중(프레시안)
노무현 대통령이 돌아가시기 직전, 노무현 죽이기에 동참해 오히려 더 악랄하게 물어뜯었던 한겨레신문이나 기타 인터넷 언론들의 행태를 연상시키는 보도들이다.
야권협상에 중재자로 나섰던 시민단체들 자체에는 별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이번 협상의 중재자로 나선 사람들의 면면을 보면 정말 수상쩍기 짝이 없다. 객관적 위치에 있어야 할 이들은 민주당 편을 일방적으로 들면서 중재를 했다. 심지어는 이 중재자 가운데 누구누구는 민주당 당원이란 소문까지 나돌 정도였다.
편파적인 시민단체 중재자와 편파적인 일부 언론들이 가세하자, 김해을 야권협상 결렬의 책임자인 민주당은 사라지고 참여당만 남아서 돌팔매를 맞는 형국으로 바뀌었다. 참으로 어이없는 상황의 전도다. 내가 페이스북에서 민주당의 도량이 좁기가 이루말할 수 없다고 지적했던 것도 이런 정황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번 야권연대협상에서 민주당은 참여당을 제외한 정당에 대해서는 매우 관대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참여당에게만은 정말 차갑기 짝이 없는 태도를 보여왔다. 그렇다면 도대체 이런 상황의 전도적인 결과가 왜 나오는 것일까? 한마디로 말한다면 야권 내에서는 거대정당인 격인 민주당의 차기 대통령 후보군들보다 국회의원 한 석 없는 참여당의 차기 대통령 후보 지지율이 훨씬 더 높은데 기인하고 있다.
민주당 입장에서는 유시민 참여당 대표의 지지율이 더 높아져서도 안되고, 더구나 그걸 부채질할 원내진입도 결코 바라지 않고 있다.
최악의 경우 유시민과 참여당을 민주당 내로 끌어들이는 한이 있더라도 민주당 간판으로 경쟁력 있는 후보를 내세우기 위해서는 참여당이 고사돼야만 하는 것이다.
김해을 야권후보단일화 협상에 임하는 민주당의 상식과 합리를 결여한 어이없는 태도는 이런 배경이 없다면 이해 불가능하다.
더욱 어이없는 것은 여기에 기름을 붓고 있는 일부 언론들의 편파적인 보도 행태들이다.
그들은 노무현에게 가했던 몰매의 기억을 벌써 잊어버리고 있는 것일까?
지금 노무현에게서 이름을 바꾼 유시민 죽이기에 그들은 성공할 수 있다고 진짜로 믿는 것일까?
덧글) 앞서 언급했던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생애>는 모 출판사의 전집에 끼어 있는 중편소설로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유시민 대표가 쓴 베스트셀러 <청춘의 독서>에서 이 소설을 언급함으로써 수만부가 넘게 팔리는 히트를 기록했다고 한다. 자세한 저간의 사정은 내가 쓴 < Why 유시민>에서도 언급한 바 있다. 그 소설을 언급했던 유시민 대표는 자신이 바로 그 형세에 처할 것이라고 과연 그때 예감하고 있었던 것일까, 궁금하다.
뉴스페이스 | 2011.04.04 13:32 | 서영석 칼럼니스트 | 원글보기
<시민단체가 어떤 짓을 했는지 까발려주마>
[칼럼] 기계적 중립성, 책임감없고 무능력한 행보 일관
시민단체는 그 자체로 중립성을 검증받지 않아도 되나?
바른시민사회는 중립적인가? 재향군인회는 중립적인가? 뉴라이트연합은?
그러면 그 반대편의 진보연대는 중립적인가? 시민행동은? 민변은?
시민단체는 결코 중립적이지 않다. 그런데도 이인영은 이렇게 말한다. “시민단체가 민주당의 강요를 수용했다는 것은 시민단체에 대한 결례, 시민단체는 가치의 순결성을 가지고 있고 이해관계를 초월하는 순수성을 추구하는 집단”이라고 말이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려라. 한나라당이나 보수기득권 집단에서 늘 해오던 행태를 진보를 떠들고, 개혁을 떠드는 집단에서 태연스럽게 나오는 모습은, 한국 국민들이 왜 운동권집단에게 전폭적인 지지를 안보내는지 이유가 들어있다.
진보와 개혁을 외치는 집단이 단 한번도 다수가 되지 못한 이유가 들어있다. 대체 이 사람들의 행태가 보수세력과 다른게 뭔가?
시민단체의 기계적 중립성도 이참에 말해보자.
이번 경선룰이 개떡같이 베베 꼬이고 복잡하게 된 것은 책임감없고, 정치적으로 무능력한 시민단체의 작품이다.
순서대로 천천히 살펴보자.
- 참여당은 처음에 100% 여론조사(적합도), 민주당은 100% 현장투표를 주장했다.
- 시민단체는 절충한답시고 여론조사 50%, 현장투표 50%로 섞는다. 양쪽 주장 반반을 섞었다.
- 그런데 50% 반영하는 여론조사 방식을 놓고 참여당은 적합도, 민주당은 가상대결을 주장한다.
- 그러자 시민단체는 이걸 다시 섞는다. 적합도 25%, 가상대결 25%
- 그 결과 여론조사50%(적합도 25%, 가상대결 25%) + 현장투표 50%
- 참여당의 주장이 받아들여진 건 몇 프로? 25%다. 민주당 주장 75%
이게 시민단체가 해온 짓거리다. 책임감은 쥐뿔도 없는 집단이 시민단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중립성을 먹어줄 수는 없다.
하는 짓이 공정해야 중립적인 것이지, 하는 짓이 편파적인데 시민단체라는 이유로 무조건 중립적이라고?
거기에 <순결성>을 운운하는 대목에서는 정말 토가 나올 지경이다.
현장투표에 인구비례를 반영하게 될 경우 시민단체는 과연 어떻게 했을까를 예상해보자.
아마도 남녀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이라는 세 개의 인구비례를 뒤범벅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렇게 말이다. (앞으로 벌어질 일일지도 모른다)
- 남녀성별 50%, 연령대별은 2분위로 50%, 지역별 미반영 0%
- 혹은 남녀성별 미반영 0%, 연령대별 2분위 50%, 지역별 50%
- 이렇게 되면 안그래도 75대 25였던게 다시 민주당 87.5 대 참여당 12.5 이렇게 되는거다.
이번 협상에서 시민단체가 민주당 주장을 충실하게 반영하게 된 과정을 파악했을 것이다.
한 마디로 우기면 받아준 거다. 그러니 민주당 입장에서도 100% 자기들 주장이 아니라고 말할 근거도 있고, 얼마나 좋겠는가?
차라리 시민단체라는 허울을 뒤집어 쓴 '민주당 2중대'가 협상결렬을 발표하고, 참여당을 향해 저주를 퍼붓고 퇴장한 것은 향후 야권 연합을 위해서 잘된 일이다. 그리고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도 시민단체라는 것들을 관여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정치집단의 협상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한다.
민주당은 야 4당간 협의에는 소극적이면서, 꼭 시민단체를 끼고 협상장에 들어왔었다고 한다. 그 속셈이 뻔히 들여다보이는데도, 기계적으로 절충을 해서 경선룰을 헝겊 기우듯이 해놓은 무능력하고 무책임한 시민단체는 향후 야권 후보 단일화에서 손을 떼야 한다.
뉴스페이스 | 2011.04.04 12:50 | 권순욱 칼럼니스트 | 기사보기
'◆ 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 > 20110427(재보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당의 김해양보가 야권연대정신에 부합한다 (0) | 2011.04.04 |
---|---|
<기자수첩>유시민 비판론…바보야 문제는 ‘기득권’이야 (0) | 2011.04.04 |
<인터뷰>유시민 "잘못이라면 강자 횡포에 굴복안한 것" (0) | 2011.04.04 |
[스크랩] 김해을 야권단일화 끝장 담판 `일단은 성사` (0) | 2011.04.04 |
[스크랩] 김해을 야권단일화, `마지막 담판` 이뤄지나 (0) | 2011.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