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기적'은 시민의 힘...민주당 반성하세요
6월 3일 새벽 5시 20분경, 새벽 3시가 넘도록 1위를 달리던 한명숙 서울시장 후보는 오세훈 후보에게 1만 7천여 표를 뒤지고 있었다.
얇은 옷 속을 파고드는 광장의 새벽바람은 차가웠다. 개표는 85.4%가 끝난 상태로 15.6%를 남겨놓은 상황이었다.
한밤을 꼬박 새우고 첫 지하철을 타고 돌아오면서 '아직도 뒤집을 기회는 있을 거야"라고 나를 위로했다.
희망을 버리지 않은 채 돌아와 물으니 끝까지 개표를 해봐야 안다고 했다. 쌓인 피로로 잠시 눈을 붙인 뒤 일어나 보니 2만6천 표 차이로 오세훈 후보가 서울시장에 당선되었다고 했다. 순간 지난 13일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갔다.
편 가르고 업무 미루고... 선거 캠프 맞아?
▲ 지지자에게 둘러싸인 한명숙 후보 사람들이 한명숙을 환호하고 있다. ⓒ 이명옥 |
나는 어느 정당이나 여성단체도 속해 있지 않은 '게릴라 아줌마'다.
그런데 이번에 한명숙 서울시장 후보 캠프에서 13일간 선거 사무원으로 일했다.
13일간 배운 게 50여 년 이상의 세월 동안 배운 것보다 많았다.
선거 캠프는 선거 기간 동안 잠시 꾸려지는 조직인데도 늘 계보를 묻고 편을 갈랐다.
서울 시민이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의 선거 사무원으로 일하는데 왜 계보가 필요할까?
특히 초기에 어려움이 많았던 것은 내가 단체나 조직에서 온 사람이 아닌 그저 시민의 한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한 가지 결정을 하는 데 반나절을 꼬박 회의로 보내거나 관장 부서나 조직이 달라 서로 미루는 일도 있었다.
공은 서로 다투고 허물은 서로 남 탓으로 돌리는 일이 캠프라고 다를 리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퍼렇게 멍든 한명숙 후보의 손... 나도 못 잡아봤네
차츰 캠프가 자리잡아 가면서 광화문에서 촛불집회와 유세장을 돌며 밑바닥 민심을 듣는 한 후보에게서 희망의 소식이 흘러나오고 있었다.
하지만 시간적 촉박함에서 오는 안타까움도 많았다.
내가 맡은 분야는 전화 홍보였는데 오세훈 후보가 두 번씩이나 다녀갔다는 관악구 복개천에 한명숙 후보가 한 번이라도 유세를 와 줄 것을 당부해 보고서로 올렸지만 그런 요구들이 제대로 전달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단지 내 경로당에서도 한 후보의 유세 방문을 간절하게 요구했지만 유세 일정에 들어 있었는지 확인할 길이 없었다.
▲ 6.2 지방선거를 하루 앞둔 1일 저녁 서울 동대문 두타광장에서 열린 한명숙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의 마지막 유세에서 한 후보가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며 인사를 나누고 있다. ⓒ 유성호 |
유세 마지막 날인 6월 1일 아침 서울과 경기도의 경계지점이라는 석수에서 아침 7시에 출근자들을 향한 '서울·경기 합동 유세'가 있었다.
유시민 경기도지사 후보와 한 후보가 합동 유세를 마친 후, 한 후보는 지하철 1호선을 타고 다음 기자 회견장인 서울광장을 향해 갔다.
출근길 지하철은 만원이었고 자리도 없어 후보는 문간에 서 있어야 했다.
두어 정거장 지난 뒤 자리가 생겨 앉은 후보는 잠시 눈을 감고 무언가 생각에 잠긴 듯했다. 출근을 하는 젊은이들과 학생들이 한 후보를 알아보고 자기들끼리 소근거리다가 휴대폰을 꺼내 사진을 찍거나 내리면서 "한명숙 후보님, 힘내십시오!"라고 인사를 건넨 뒤 내리기도 했다.
동대문 두타나 명동에서 사람들은 어찌하든 한 후보의 손이라도 한 번 잡아보려 아우성이었고 한 후보는 그들의 손을 일일이 잡아주었다.
두 손으로 한 후보의 손을 꼭 잡고 놓아주지 않는 어르신과 하루에 수도 없이 하는 악수로 손등에 멍이 들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는 악수할 기회가 있어도 뒤로 물러서 있었다.
그렇게 인터넷에서 늘상 떠들었던 10-20%p 이상 뒤진다는 무슨 조사 결과와 달리 실제 만남에서 보여지는 민심은 너무나 달랐다.
노회찬씨가 서울시장 후보로 나온 노원구에서조차 이번에는 "한명숙에게 투표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반응을 접하며 시민들의 바람이 무엇인지 잘 알 수 있었다. 그것이 진정한 민심의 현장이었던 셈이다.
민주당, 시민들만큼 절박했나요?
▲ 한 명숙 후보의 지지자 한 지지자가 무상보육 무상교육 한명숙 짱! 이라는 표지판을 들고 있다. ⓒ 이명옥 |
하지만 선거 기간 동안 좌충우돌하며 안타까웠던 점과 아쉬움도 무척 많다.
우선 후보가 원하는 곳마다 유세를 할 수 없었던 시간적 촉박함이다. 전화를 해보면 한 후보의 정책을 제대로 모르거나 자기들이 사는 동네는 후보가 한 번도 다녀간 적이 없다는 이야기가 들려와 안타까움을 더하게 했다.
유세차를 본 적이 없다는 이야기까지 들려왔다. 사실 그런 악조건 속에서 한명숙 후보의 선전과 투표에 보여진 결과는 기적에 가까운 일이다. 한명숙 후보는 최선을 다해 시민들의 목소리를 들으려고 노력했으며 시민들은 최선을 다해 투표로 한 후보에게 답해주었다.
솔직히 실제로 시간과 여건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것은 조직의 책임이지 시민들이나 타당 후보의 책임이 아니다.
그럼에도 공은 내 것이고 과는 너의 탓이라며 부질없이 입싸움이나 하고 있다. 그것은 시민들의 바람을 또 한 번 거스르는 일일 것이다.
발전을 위한 건강한 비판이나 되돌아봄은 자신에게서부터 시작해야만 한다.
이제 남 탓 그만하고 스스로를 돌아보며 최선을 다했는지 무엇이 부족했는지를 생각해 보자.
시민들이 야권에 힘을 실어주고 바라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하며 겸허한 자세로 최선을 다해 시민들의 바람에 함께 해야 할 것이다.
7월에 보궐선거가 또 있다. 야권에 힘을 실어 자리를 만들어 준 시민들은 감시를 눈길을 거두지 않을 것이다.
잠시 동안 캠프에서 조직을 지켜본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 묻고 싶다.
"정말 당이나 조직이 시민만큼 절박했습니까?"
"밥그릇 챙기기와 내 표 챙기기가 아니고 서울시장 후보에게 부끄러움 없이 마음을 모았습니까?"
오마이뉴스 | 2010.06.05 18:17 | 이명옥 기자 | 기사보기
'◆ 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 > 20100602(지방선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중권 “왜 노회찬에게 돌을 던지는가” (0) | 2010.06.06 |
---|---|
<시민광장>노회찬씨의 선택에 대해 (0) | 2010.06.06 |
조중동도 걱정하는 MB정부 오만과 독선 (0) | 2010.06.05 |
2MB정권 ‘8대 파탄’을 심판하자! (0) | 2010.05.28 |
[경기도지사선거 후보자토론회] 유시민 & 김문수 (2010.05.27) (0) | 201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