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

‘만수 무강’ 강만수, 국가경쟁력委 위원장에 내정

테마파크 2009. 1. 23. 02:04

‘만수 무강’ 강만수, 국가경쟁력委 위원장에 내정

 

경향신문  김정선기자  입력 : 2009-01-22-18:03:28수정 : 2009-01-22 18:03:28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이 퇴임 후 대통령 직속 국가경쟁력강화위원장을 맡는다.

 

청와대 관계자는 22일 “강 장관이 다음달 중순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의 인사청문 절차가 끝날 때까지 장관직을 수행한 뒤 국가경쟁력강화위원장으로 자리를 옮겨 일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 장관은 지난 19일 개각 때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며 사의를 표명했지만, 현직에서 물러나기도 전에 국가경쟁력위원장에 내정된 것이다.

 

이번 개각의 핵심이 ‘경제사령탑’으로 ‘시장의 신뢰상실’을 자초했다는 여론의 비판을 받아온 강 장관 교체였다는 점에서, 그가 “너무 빨리 자리를 옮기는 것”에 대해 청와대 내부에서도 반대 의견이 적지않았다는 후문이다.

 

민심을 거역한 돌려막기, ‘회전문 인사’라는 여론이 일 것이란 점에서다.

그러나 강 장관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변함없는 신임이 확인되면서 내정 쪽으로 기울었다고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치권이나 시장의 여론 등을 고려해 강 장관의 자리나 임명 시기 등을 둘러싸고 여러 논의가 있었지만, 결국 이 대통령의 의중이 가장 중요한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강 장관의 국가경쟁력위원장행에는 이 대통령의 각별한 ‘배려’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우선 국가경쟁력위원장은 장관급으로 기획재정부 장관과 비교할 때 ‘격’이 떨어지지 않는다.

또 경제관련 정책을 조언하는 자리지만 이 대통령의 신임 여부에 따라 경제정책 등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자리이기도 하다.

‘국가경쟁력’이라는 영역이 경제 부처는 물론 전 부처와 연관돼 있고 민간 부문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국가경쟁력위원회는 규제완화를 비롯해 법질서 살리기, 교육 선진화 등 전 부처의 정책에 관여해왔다.

게다가 대통령 직속 기구로 매달 한 차례 정례적으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가 열린다.

강 장관으로서는 장관 시절보다 이 대통령과의 ‘거리’가 가까워진 셈이다.

강 장관과 이 대통령의 ‘특별한’ 사이를 고려하면 ‘막후 경제실세’의 탄생 가능성도 있다.

야당들은 일제히 논평을 내고 강 장관의 국가경쟁력위원장 내정을 비판했다.

민주당은 “이명박 대통령은 배짱 인사로 일관하고 있다”며 “국가경쟁력 강화는 물 건너가고 측근들의 충성 경쟁만이 대한민국을 뒤흔들게 됐다”고 비판했다.

자유선진당은 “이 대통령의 한심한 ‘일편단심, 오매불망 강만수 짝사랑하기’가 참으로 목불인견”이라고 질타했다. 민주노동당은 “카드 돌려 막기도 부족해서 이제는 사람 돌려 막기인가”라고 지적했다.

<김정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