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총리 장·차관 개신교 33% 불교 5%]
한국일보, 고위직 등 종교 조사 / 국민은 불교23% 개신교18%
|
이명박 정부의 종교 편향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본보가 1일 한승수 총리 및 15개 부처 장ㆍ차관의 종교를 조사한 결과, 전체 39명 중 기독교(개신교) 신자는 13명으로 33.3%를 차지한 반면 불교 신자는 2명(5.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천주교 신자는 9명으로 23.1%였으며 종교가 없는 사람은 15명(38.5%)이었다.
이는 정부의 의도와 무관하게 장ㆍ차관 인사가 종교적으로 편중된 결과로 불교계 입장에서는 불만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청와대 수석 이상 비서진 10명 중에서는 기독교 2명, 천주교 1명, 불교 2명 등으로 상대적으로 균형을 이뤘다.
이는 정부의 의도와 무관하게 장ㆍ차관 인사가 종교적으로 편중된 결과로 불교계 입장에서는 불만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국무위원인 총리 및 장관 16명만을 놓고 보면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 1명만 불교 신자이고, 기독교는 9명(56.4%), 천주교는 4명(25%)으로 나타났다. 장관 중 종교가 없는 사람은 2명이었다.
각 부처 차관 23명 중에는 기독교 4명, 천주교 5명, 불교 1명, 종교 없음 13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우리 일반 국민의 종교 분포와 비교해도 차이가 크다.
가장 최근 자료인 통계청 2005년 인구ㆍ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 4,704만1,434명 중 불교 신자가 1,072만6,463명으로 22.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기독교가 861만6,438명(18.3%), 천주교 514만6,147명(10.9%), 원불교 12만9,907명(0.3%) 등의 순이었다. 일반 국민의 종교는 불교가 가장 많은데도 정책을 입안, 집행하는 정부의 고위직에는 불교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셈이다.
선출직인 국회의원의 경우에도 전체 299명 중 기독교 신자가 118명으로 39.5%를 차지해 다른 종교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천주교 78명(26.1%), 불교 54명(18.1%), 원불교 1명(0.3%) 등의 순이었다.
종교가 없거나 답변을 하지 않은 사람은 모두 48명이었다.
청와대 수석 이상 비서진 10명 중에서는 기독교 2명, 천주교 1명, 불교 2명 등으로 상대적으로 균형을 이뤘다.
여권 관계자는 “인선을 할 때 종교까지 고려하긴 현실적으로 어렵지 않느냐”면서도 “하지만 국민통합 차원에서 지나친 종교 편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사나 정책 등에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 > #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위기설]금융당국 위기대응 무능력…MB정부 조직개편 후유증? (0) | 2008.09.05 |
---|---|
`10년을 司正한다'…권력형 비리 수사 경쟁 (0) | 2008.09.05 |
쥐코 (이명박 다큐, 식코 한국판) (0) | 2008.08.30 |
과학기술계도 ‘MB 낙하산’ 논란 (0) | 2008.08.26 |
지난 과정과 운동의 성과-이명박 탄핵을 위한 범국민운동본부 (0) | 2008.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