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인수대전…‘환상 짝꿍’ 찾아라] | |
정부, 특정기업에 지분 ‘통째 매각’ 부담
| |
![]() |
![]() ![]() ![]() ![]() |
오는 22일께 대우조선해양의 매각 공고를 시작으로 공기업 27곳 및 공적자금 투입 기업들을 놓고, 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M&A) 경쟁이 불붙게 된다.
정부가 이번에 지분을 매각키로 한 기업 27곳의 시가총액은 모두 100조원이 넘는다.
대우조선 인수를 희망했던 두산이 18일 돌연 포기를 선언하는 등 인수주체들의 탐색전은 벌써 시작된 모습이다.
정부는 지분 매각과 관련해 일반공모나 우리사주조합 우선 배정, 고용보장 계약 등 몇가지 새로운 원칙을 내세워, 이번 인수·합병 경쟁이 이전과 다른 양상을 보일지 주목된다.
정부가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건 경제력 집중 심화, 헐값 특혜매각, 국부유출 논란이다.
외환은행, 대한생명, 대우건설 등 지금까지 굵직굵직한 인수·합병 때마다 이런 잡음들이 끊이지 않았다.
정부가 최근 ‘공기업 선진화 오해와 진실’이라는 자료를 통해, 경제력 집중 견제장치의 하나로 일반공모와 우리사주 방식의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것도 이런 우려를 의식해서다.
특정 사업에는 외국인 투자에 제한을 둔다거나 동일인 주식소유 제한을 도입하는 방식은 부처 사이 이견이 큰 상황이지만, 적어도 특정기업에 통째로 지분을 넘긴다든지 하는 이전 매각방식은 줄어들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이번 공기업 지분 인수전에는 대기업뿐 아니라 기존 주주나 우리사주 조합원 등 여러 이해당사자들의 움직임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쌍용건설의 경우, 동국제강-군인공제회 컨소시엄이 이미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돼 실사작업을 벌이는 가운데, 우리사주조합도 유력한 인수 경쟁자로 나선 상태다.
우리사주조합은 회사 회생 과정에서 임직원들이 보여준 희생에 대한 보답으로 채권단이 주식 우선매수권을 약속함으로써, 자산관리공사(캠코)가 매각할 지분 50.07% 가운데 24.72%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을 갖게 됐다.
우리사주조합은 국민연금 2호 사모펀드와 자금 조달 계약까지 맺은 상태다.
이원혁 우리사주조합장은 “구체적인 주식매입 범위는 정밀실사 뒤 최종 가격을 보고 결정하겠지만 반드시 우선매수 청구권을 행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수전에 뛰어들 대기업들도 인수자금 마련을 위해선 ‘독식’ 욕심을 버리는 게 유리한 상황이다.
정부가 ‘신속매각 원칙’을 세운 14개 공적자금 투입기업에는 대우조선·현대건설·하이닉스 등 재계의 판도를 바꿀 만한 ‘대어’들이 즐비한데, 그만큼 단독으로 인수하기에는 덩치가 만만찮다.
게다가 정부가 이번에는 ‘풋백옵션’이나 ‘레버리지 바이아웃’ 같은 일종의 변칙적인 인수방식을 규제할 방침이라 ‘단독 플레이’가 더욱 어렵게 됐다.
실제 대우조선의 경우엔, 포스코·한화·지에스 등 인수를 희망해 온 기업들이 1조5천억원 규모의 ‘재무적 투자’ 의사를 밝힌 국민연금과 손을 잡느냐 마느냐에 따라 인수전 판도가 달라질 전망이다.
기관투자가가 중요한 플레이어로 자리잡은 셈이다.
또 이번 두산의 인수 포기에서 보듯이 노조의 입김도 무시 못할 정도가 됐다.
막상 인수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정부가 지금까지 밝혀온 몇가지 중요한 원칙들이 제대로 지켜질지 불투명하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14개 기업을 모두 동일한 매각방식으로 매각할 필요도, 매각할 수도 없다”며 “먼저 각각의 기업 특성과 업종 환경을 검토해 매각수익 극대화냐, 아니면 구조조정 성과를 분배할 거냐는 두 가지 원칙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곧, 매각수익 극대화라면 특정기업에게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받고 지분을 넘기는 것이 유리하겠지만, 구조조정 성과의 사회화라면 주식 일반공모나 우리사주조합 우선 배정 등 다양한 지분분산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김영희 최종훈 이형섭 기자 dora@hani.co.kr |
'◆ 이명박(전과14범)사기정권 > 공기업민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금융 의미없는 매각절차 NO! "새로운 틀 마련" (0) | 2010.12.17 |
---|---|
[스크랩] 우리금융 민영화 추진 일지 (0) | 2010.12.17 |
[인천국제공항공사] 민영화 대상에 포함된 배경 의문 (0) | 2008.08.18 |
41개 공기업 기업별 선진화 방안 (0) | 2008.08.12 |
최근 이명박 정부에 의해 이뤄진 공기관 낙하산 인사들 (0) | 2008.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