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억지로라도 웃어라!
◆ 웃음 없이는 인간관계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이것은 뫼비우스 증후군 환자들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뫼비우스 증후군을 앓는 환자들은 안면근육이 마비되어 있기 때문에 웃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그들의 감정과 기분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까닭에 뫼비우스 증후군을 앓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친한 관계를 형성, 유지하는 것이 대단히 어려운 것이다.
◆ 잘 웃어야 성공도 한다
잘 웃는 사람이 행복한 생활하며 성공하기 쉽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는 많다.
그중에 대표적인 것에 여대생들의 졸업앨범 사진에 찍힌 웃는 모습을 분석한 미국의 연구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졸업 앨범에 실렸던 여성들을 30년이 지나 추적 조사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졸업 앨범에 실렸던 여성들을 30년이 지나 추적 조사해보았다.
그 결과 앨범사진에서 행복한 미소를 지었던 여성들이 그렇지 않았던 여성들에 비하여 더욱 행복한 삶을 보내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행복한 미소를 지었던 여성들이 미인이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아닐까 의심했다.
하지만 다양한 분석의 결과, 30년 후의 행복감과 외모와는 상관이 없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또 하나의 중요한 점은 카메라 앞에서 짓는 억지 미소는 30년 뒤의 행복한 삶에 그다지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심리학에서는 진정한 미소를 "뒤센 스마일(Duchenne smile)", 억지 미소는 "팬 아메리칸 스마일 (Pan-American smile)"이라고 부른다.
뒤센 스마일이란 미소를 최초로 학문적으로 연구한 심리학자 뒤센의 이름을 딴 것이고, 팬 아메리칸 스마일이란 팬 아메리칸 항공사의 스튜어디스들이 손님에게 짓곤 하는 억지 미소에서 비롯된 말이다.
◆ 진정한 미소와 억지 미소를 가르는 기준은 무엇일까?
그것은 까마귀 발 모양의 눈 둘레근이다.
뒤센 스마일이란 미소를 최초로 학문적으로 연구한 심리학자 뒤센의 이름을 딴 것이고, 팬 아메리칸 스마일이란 팬 아메리칸 항공사의 스튜어디스들이 손님에게 짓곤 하는 억지 미소에서 비롯된 말이다.
◆ 진정한 미소와 억지 미소를 가르는 기준은 무엇일까?
그것은 까마귀 발 모양의 눈 둘레근이다.
이 근육이 움직여 눈이 웃느냐 여부가 진정한 미소와 억지 미소라는 차이를 낳는다.
보통 사람이 미소를 짓기 위해서는 16개의 근육을 움직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16개의 근육 가운데에서 의도적으로 움직이기 가장 어려운 것이 눈 둘레근이다.
따라서 우리는 눈이 웃고 있느냐를 보면 상대가 진정한 웃음을 짓고 있느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눈이 웃고 있느냐를 보면 상대가 진정한 웃음을 짓고 있느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으로 아무리 함박웃음을 짓더라도 눈썹이 아래로 내려가고 뺨이 위로 올라가며 웃지 않으면 그것은 억지 웃음일 뿐이다.
하지만 억지 웃음도 나름대로 효용이 있다.
아무리 가식적인 웃음이라도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억지 웃음도 나름대로 효용이 있다.
아무리 가식적인 웃음이라도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지는 않는다.
억지 웃음이라도 찡그린 얼굴 모습보다는 매력적이다.
물론 마음이 즐거워야 진정한 미소를 지을 수 있다.
훈련이 되어 있지 않다면 마음이 불편하면서 진정한 웃음을 웃는 것은 어렵다.
우리가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기분이 상할 때도 우울할 때도 있을 수밖에 없다.
우리가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기분이 상할 때도 우울할 때도 있을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기분 대로 인상을 찌푸리고 있을 수만은 없다.
특히 사람을 많이 만나야 하는 사람이라면 마음이 불편해도 웃는 낯을 할 수밖에 없다.
사실 이게 쉽지는 않다.
백약이 필요 없다는 말처럼 웃음이 우리 몸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사람을 많이 만나야 하는 사람이라면 마음이 불편해도 웃는 낯을 할 수밖에 없다.
사실 이게 쉽지는 않다.
백약이 필요 없다는 말처럼 웃음이 우리 몸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웃음 없이는 인간관계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을 정도로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절대적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한 가지 간과되고 있는 것은 웃음이 상상력,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 등 직장인에게 필수적인 능력을 높이는 데에도 대단히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인간관계가 아니라 이러한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억지로 웃을 필요가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한 가지 간과되고 있는 것은 웃음이 상상력,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 등 직장인에게 필수적인 능력을 높이는 데에도 대단히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인간관계가 아니라 이러한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억지로 웃을 필요가 있을지 모른다.
- Rokea
JES | 2008.06.27 입력 | 이 글은 블로그 플러스(blogplus.joins.com)에 올라온 블로그 글을 제작자 동의 하에 기사화 한 것입니다.
'◆ 건강한 생활 > 건강한 삶의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 들면서 지켜야 하는 것들 (0) | 2008.07.13 |
---|---|
재치 있는 인생 살기 (0) | 2008.07.13 |
행운을 부르는 8가지 습관 (0) | 2008.07.13 |
나쁜 습관을 고치는 방법 (0) | 2008.07.13 |
행복습관 쌓기위한 12원칙.. (0) | 2008.07.13 |